AWS 6

[인프라] AWS RDS 생성하기 (개발용 | 운영용)

💁‍♂️ 들어가기 전 이번엔 AWS에서 제공해주는 RDS를 사용해볼거에요. RD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를 관리하는 서비스에요. DB 관련해서는 모든 할 수 있죠. CI/CD 파이프라인 구축이 끝나더라도 어차피 웹 서비스에서는 RDB를 사용하게 되어있어요. 이왕 이렇게 된거 AWS에서 제공해주는 RDS도 같이 배워보면 좋을 것 같아서 포스팅해봅니다. 어차피 실제 운영할 때도 모두 사용하긴해요. 다만 Docker를 사용한다면 RDS가 필요없을 수도 있어요. 도커 컴포즈 이용해서 해결하면되니까. 하지만 Docker를 사용하지 않고 Elastic Beanstalk를 사용해서 CI/CD를 구축했다? 그럼 반드시 필요합니다.📋 DB 만들기 전AWS에서 DB를 만들기 위해서는 사전 설정이 필요해요.RDS..

🐳 DevOps 2025.05.02

[인프라] Elastic Beanstalk에 도메인 + Https 적용하기

💁‍♂️ 들어가기 전CI/CD 파이프라인 구축이 끝나고 보니까 도메인도 없고 https도 적용이 안되어 브라우저가 조심하라는 경고를 주었다. 만약 이게 실제 프로젝트였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굉장히 신뢰가 가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가비아에서 500원짜리 도메인을 사고 https 적용했다. 그 방법을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알려주겠다.일단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하고 Elastic Beanstalk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그 다음에 https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도록 하겠다. ☘️ 도메인 적용Elastic Beanstalk에 https를 적용할려면 가비아에서 도메인부터 사야한다. 나는 전에 이미 사놨던 도메인이 있어서 그걸로 진행하겠다.AWS에서 도메인을 적용하려면 AWS에서 ..

🐳 DevOps 2025.04.29

[인프라] EB(Elastic Beanstalk) 개념 및 생성 실습 (실습 위주)

💁‍♂️ 들어가기 전 안녕하세요. 오늘은 AWS에서 제공해주는 EB(Elastic Beanstalk)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 알아보기 전에 우선 EB(Elastic Beanstalk)란 무엇일까요? EB는 배포 자동화 서비스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EB는 처음 환경 구성만 해주면 EC2를 자동으로 만들어주기 때문이에요.🎈 Elastic Beanstalk 생성1. IAM 생성먼저 EB를 생성하기에 앞서 IAM 역할을 생성하도록 할게요. 이 작업을 왜 하냐면 EB 생성 단계에서 EC2에 대한 역할, EB에 대한 역할을 내놓으라고 하기 때문에 미리 만들어 주는 거에요.그럼 일단 Elastic Beanstalk에 대한 역할부터 만들어줄게요.'역할 생성'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와요. 신뢰할 수 있는..

🐳 DevOps 2025.04.26

[인프라] AWS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이란?

🍓 들어가기 전필자는 CI/CD 공부하다가 IAM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정확히는 IAM이 무엇인지 몰랐기 때문에 최소한의 지식을 습득하고자 이 시간을 활용해볼려고 한다. 🤔 IAM란?IAM은 AWS 서비스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관리하는 역할? 서비스이다. 💁‍♂️ AWS 사용자 유형AWS에서 사용자는 두 종류로 나뉜다. 루크 사용자와 IAM 사용자이다. 루트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로그인한 사용자를 말하고 IAM 사용자는 각 사용자 별로 AWS 서비스 또는 리소스에 권한 제어를 할 수 있다. EC2나 ELB, S3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할 때는 반드시 IAM 사용자로 들어가야겠죠? 왜냐하면 리소스나 AWS 서비스 자체의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죠. 우리가 S3 사용할 때 IAM ..

🐳 DevOps 2025.04.25

[인프라] AWS VPC 생성 실습

🤔 들어가기 전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이어서 이번 시간에는 AWS에서 VPC를 직접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확실히 VPC에 대해서 공부하고 AWS에서 VPC를 생성하니까 빠르게 막히는 부분 없이 생성할 수 있었어요! (이해 -> 실습)🔮 VPC 생성먼저 AWS에 로그인하고, 검색바에 'VPC'라고 검색하고 들어가서 생성을 눌러줘요.VPC의 이름을 지정해주고 CIDR을 설정해줘요. CIDR은 16이 가장 무난합니다.생성하면 위 사진과 같은 창이 나타나요. 그럼 VPC가 기본적으로 생성된거에요. 위 사진에서 아직 서브넷이 없죠? 이제는 VPC에 필요한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등을 설정할께요. 🐦‍🔥 서브넷 생성아까 생성한 VPC를 선택해주고 총 2개의 서브넷..

🐳 DevOps 2025.04.23

[인프라] AWS VPC 관련 개념 정리

🍎 들어가기 전본 필자는 요즘 CI/CD에 대해서 공부하는 중인데 AWS와 친해져야 조금이나마 쉽게 CD를 구축할 수 있을 것 같아서 CD에 필요한 AWS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공부해보려고 한다. 나도 처음에는 "VPC? 왜 사용해야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공부해보니 CD 구축에 있어서 모르면 안되는 개념이었다. 그래서 필자가 공부한 내용을 공유겸 내용 정리겸 정리하면 좋을 것 같아서 포스팅한다. (최선을 다해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VPCVPC란 Virtual Private Cloud의 약자로 나만의 가상 네트워크망을 의미한다. 그니까 독립적인 나만의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사용자만의 클라우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 추가VPC는 IP 주소..

🐳 DevOps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