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et 2

[인프라] AWS VPC 생성 실습

🤔 들어가기 전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이어서 이번 시간에는 AWS에서 VPC를 직접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확실히 VPC에 대해서 공부하고 AWS에서 VPC를 생성하니까 빠르게 막히는 부분 없이 생성할 수 있었어요! (이해 -> 실습)🔮 VPC 생성먼저 AWS에 로그인하고, 검색바에 'VPC'라고 검색하고 들어가서 생성을 눌러줘요.VPC의 이름을 지정해주고 CIDR을 설정해줘요. CIDR은 16이 가장 무난합니다.생성하면 위 사진과 같은 창이 나타나요. 그럼 VPC가 기본적으로 생성된거에요. 위 사진에서 아직 서브넷이 없죠? 이제는 VPC에 필요한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등을 설정할께요. 🐦‍🔥 서브넷 생성아까 생성한 VPC를 선택해주고 총 2개의 서브넷..

🐳 DevOps 2025.04.23

[인프라] AWS VPC 관련 개념 정리

🍎 들어가기 전본 필자는 요즘 CI/CD에 대해서 공부하는 중인데 AWS와 친해져야 조금이나마 쉽게 CD를 구축할 수 있을 것 같아서 CD에 필요한 AWS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공부해보려고 한다. 나도 처음에는 "VPC? 왜 사용해야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공부해보니 CD 구축에 있어서 모르면 안되는 개념이었다. 그래서 필자가 공부한 내용을 공유겸 내용 정리겸 정리하면 좋을 것 같아서 포스팅한다. (최선을 다해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VPCVPC란 Virtual Private Cloud의 약자로 나만의 가상 네트워크망을 의미한다. 그니까 독립적인 나만의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사용자만의 클라우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 * 추가VPC는 IP 주소..

🐳 DevOps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