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vOps

[인프라] Elastic Beanstalk에 도메인 + Https 적용하기

별빛난무 2025. 4. 29. 17:13
728x90

💁‍♂️ 들어가기 전

CI/CD 파이프라인 구축이 끝나고 보니까 도메인도 없고 https도 적용이 안되어 브라우저가 조심하라는 경고를 주었다. 만약 이게 실제 프로젝트였다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굉장히 신뢰가 가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가비아에서 500원짜리 도메인을 사고 https 적용했다. 그 방법을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알려주겠다.

일단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가비아에서 도메인 구매하고 Elastic Beanstalk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그 다음에 https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도록 하겠다.

 

☘️ 도메인 적용

Elastic Beanstalk에 https를 적용할려면 가비아에서 도메인부터 사야한다. 나는 전에 이미 사놨던 도메인이 있어서 그걸로 진행하겠다.

AWS에서 도메인을 적용하려면 AWS에서 제공해주는 도메인 관리 시스템 Route 53을 사용해야한다.

도메인 등록은 필자가 보기엔 AWS에서 도메인을 사는 것 같고 우리는 가비아에서 산 도메인이 있기 때문에 '호스팅 생성 영역'을 선택해준다.

도메인 이름은 가비아에서 산 도메인 이름을 작성해줄게요.

자, 여기가 좀 중요한데 별칭을 비활성화 해주면 값으로 IP 주소를 작성하라고 하는데 그런건 하지마세요. 어차피 Elastic Beanstalk을 생성하면 기존에 있던 EC2가 사라지는데 어떻게 탄력적 IP를 사용해서 값을 고정시킬 수 있을까요? 🤣 (하하)

그래서 Elastic Beanstalk을 사용할 때는 별칭은 꼭 활성화 해주시고 Elastic Beanstalk에 대한 환경, 리전은 서울로 선택해주시고 Elastic Beanstalk은 만들어둔 걸 선택해준다. (놀랍게도 Elastic Beanstalk에 대한 환경이 있더라구요?ㅋㅋ)

그럼 생성은 잘된걸 볼 수 있어요. 아, 그리고 Route 53을 사용해서 호스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비아에서 DNS를 설정해야해요. 안하면 위와 설정해도 안됩니다.

가비아에 DNS 설정에 가서 위와 같이 설정해줍니다. 호스트는 자기가 하고 싶은 호스트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자기가 백엔드를 하고 있다면 api, dev 등으로 할 수 있고 프론트엔드라고 하면 www으로 설정해줄 수 있어요. 그리고 '값/위치'에는 오른쪽 사진 다 포함되어 있어요. (AWS Route 53 레코드에 있습니다)

그리고 네임서버 설정을 해줘야하는데요. (저는 이걸 안해서 하루지나서도 발급안해줬습니다...)

AWS에서 Route 53에 들어가서 해당 도메인 호스트 영역에 가보시면 4차로 나뉘어진 네임서버 호스트명이 있어요. (그거 복사/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 이거 안해주시면 AWS가 https 인증서 발급 안해줍니다!!

그러고나서 도메인 입히고 사이트에 접속하면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는걸 볼 수 있어요! (굳굳)

그런데 아직 https 문제가 남아있죠?^^

 

💊 HTTPS 적용

우리는 AWS에서 제공해주는 AWS Certificate Manager(ACM)을 사용할거에요. 가장 편하고 쉽게 인증서를 발급 받을 수 있어요.

이거는 쉽게 할 수 있을거에요.

정규 표현식(*.) 이거는 앞에 뭐가 오든 인증서를 받겠다는 걸 말해요.

요청은 했는데 레코드를 추가해줘야해요. 추가 안해주면 평생 인증서 발급안해줍니다^^

그대로 추가해주세요.

이제 20분 기다리면 아래와 같이 AWS에서 인증서를 발급해줄거에요.

인증서를 발급 받으면 Elastic Beanstalk에 443 포트(HTTPS)를 열어줘야해요!!

그럼 브라우저가 보안 경보는 창으로 안띄우는 걸 볼 수 있어요! 잘 적용됐다는 뜻입니다!! (굳굳)


모르겠는 부분이 있거나 헷갈리는 부분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친절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