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3

[CI/CD] CI/CD 파이프라인 구축

💁‍♂️ 들어가기 전드디어 거의 일주일 동안 공부한 GitHub Actions CI/CD를 구축했다. 아, 물론 마지막으로 도메인 사서 Https 구축하는 거는 다음에 해야겠지만 그래도 CI/CD를 완성했다는 그 뿌듯함이 미쳤다. 요즘 인프라 관련해서 글을 많이 작성했는데 그 이유가 다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위함이었다. (그렇기에 지금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인프라 관련 글을 보신 후에 오시는 걸 추천합니다!)오늘은 GitHub Actions CI/CD 관련해서 필요한 파일 및 코드를 구축하고 실행시키는 것까지 해보도록 하겠다.☘️ 사용자 생성이름은 마음대로 지어주시고정책을 추가해줄건데 이름이 너무 길어서 아래 정책을 추가해준다.AdministratorAccess-AWSElasticBeanst..

🐳 DevOps 2025.04.27

[CI/CD] GitHub Actions CI/CD 설명 및 기본 문법 정리

🍎 들어가기 전안녕하세요! 😊 오랜만에 포스팅하네요^^ 제가 해커톤을 하면서 느꼈던 건데 인프라는 정말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런 인프라 구축을 할 줄 알아야 해커톤에서 사용하고(대비), 실제 운영 서버를 구축할 때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제가 요즘에 푹 빠져서 공부하고 있는 GitHub Actions CI에 관한 기본 문법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거에요! (오랜만에 글 작성하려니까 떨리네요..)🤔 CI / CD란?CI(Continuous Integration)는 지속적인 통합, CD(Continuous Deployment)는 지속적인 배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CI는 빌드 -> 테스트 -> 병합하는 과정이고 CD는 자동 배포를 말합니다. 근데 왜 CI랑 CD를..

🐳 DevOps 2025.04.22

[Git] Git과 Github는 뭘까?

나를 구원해줄 그 분은 바로 Git. 그리고 GitHub🫷 들어가기 전필자는 처음에 Git을 들었을 때 GitHub의 줄임말인 줄 알았다.ㅋ 이럴만큼 Git과 GitHub의 의미와 차이점을 모르고 있었다. 오늘 이 시간을 활용해서 Git과 GitHub에 대한 의미와 차이점을 내 방식대로 이해한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서 글을 쓴다. (원래 이렇게 정리 글 써주면 머리 속에 오래 남거든)☘️ Git차이점을 설명하기 전에 기본이 되는 Git에 대해 알아보자. Git은 로컬 파일의 변경사항을 기록하고 관리하도록 돕는 버전 관리 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이다. Git이 특별한 이유는 '브랜치' 때문이다. 사용자는 본인의 코드에 또 다른 독립적인 로컬 브랜치를 만들어 새로운 아이디어..

🌸 Git & Github 202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