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vOps

[인프라] AWS VPC 생성 실습

별빛난무 2025. 4. 23. 14:50
728x90

🤔 들어가기 전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 이어서 이번 시간에는 AWS에서 VPC를 직접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확실히 VPC에 대해서 공부하고 AWS에서 VPC를 생성하니까 빠르게 막히는 부분 없이 생성할 수 있었어요! (이해 -> 실습)


🔮 VPC 생성

먼저 AWS에 로그인하고, 검색바에 'VPC'라고 검색하고 들어가서 생성을 눌러줘요.

VPC의 이름을 지정해주고 CIDR을 설정해줘요. CIDR은 16이 가장 무난합니다.

생성하면 위 사진과 같은 창이 나타나요. 그럼 VPC가 기본적으로 생성된거에요. 위 사진에서 아직 서브넷이 없죠? 이제는 VPC에 필요한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등을 설정할께요.

 

🐦‍🔥 서브넷 생성

아까 생성한 VPC를 선택해주고

 

총 2개의 서브넷을 만들어줄께요. 1개는 퍼블릭, 또 다른 1개는 프라이빗으로 만들도록 할께요. (위 사진에서는 퍼블릭만 만들었지만 실제로는 프라이빗도 만들었습니다.)

둘 다 생성이 잘됐죠? 그럼 이제 외부 통신을 할 수 있게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만들고 라우터 세팅하러 갈께요.

 

🪵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이름을 막 a, b 이런식으로 말고 알아볼 수 있게 지어주세요. a, b 이런식으로 지으면 나중에 후회합니다.

생성은 잘됐는데 지금 활성화 상태가 아니죠? 이건 VPC를 넣어주지 않아서 그래요.

작업에 가서 'VPC 연결'에 들어가 줍니다.

우리가 아까 만들었던 VPC로 선택합니다.

그럼 해당 인터넷 게이트웨이는 아까 생성한 VPC를 위한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되는거에요. 이제 연결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볼께요.

 

💊 라우팅 테이블 생성

VPC는 만들었던 걸로 선택하고 이름은 알아볼 수 있게 지어주세요.

라우팅 편집에 들어가서 외부 통신이 가능하게 0.0.0.0/0 IP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연결시켜 주세요.

만든 라우팅 테이블에 서브넷을 연결하여 퍼블릭 서브넷을 구축해볼께요.

어떤 서브넷을 선택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private으로 됩니다. 일단 퍼블릭을 선택하고 저장을 눌러요.

그럼 잘 연결된 걸 확인할 수 있어요. 만든 VPC를 전체적으로 보면 아래와 같아요.

완성된 VPC 리소스 맵

 

🧱 보안 그룹 연결

VPC는 만들었던 VPC로 선택해주세요! 뭐 잘못 선택해도 수정할 수는 있습니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IP 허용을 위해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해줍니다.

VPC ID를 보면 우리가 만들어준 IP가 보입니다.

이렇게 나오면 성공! 그럼 VPC에 들어올 때 보안관이 검사하고 안전한지 확인한 다음 접근이 가능해지겠죠^^


이상으로 VPC 생성 방법에 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모르는 부분이나 이해 안되는 부분 있으시면 부담없이 댓글로 남겨주세요! 제가 친절히 답편해드릴께요. 😋 오늘은 여기까지~

 

728x90